130회 해로는 팀으로 봉사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인 약 35억 명의 팬을 보유하고 있는 축구를 손꼽을 수 있다. 축구가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이유 중 하나는 공 하나만 있으면 장비나 시설이 없어도 어디서든 즐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그러나 프로축구를 비롯한 정식 축구 시합에는 감독,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인 약 35억 명의 팬을 보유하고 있는 축구를 손꼽을 수 있다. 축구가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이유 중 하나는 공 하나만 있으면 장비나 시설이 없어도 어디서든 즐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그러나 프로축구를 비롯한 정식 축구 시합에는 감독,
독일 베를린에 본부를 둔 비정부 국제기구인 국제투명성기구(TI, 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발표한 ‘2024년도 국가 청렴도’에서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64점으로 180개국 중에서 30위를 기록했다. 10년 전인 2014년에는 55점으로 175개국 중에서 44위를 기록한 이후, 매년 청렴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어 긍정적이었지만, 아직도 더 발전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번 평가는 국가적 차원의 지속적인
우리 어르신들이 즐겨 부르는 애창곡 중에 ‘하숙생’이라는 가요가 있다. ‘인생은 나그네 길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인생은 벌거숭이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철학적인 가사임에도 나그네 인생의 덧없음을 공감하는 많은 이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6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이 불리고 있다. ‘나그네’는 자기 집을 떠나 다른
“하늘 아래 내가 받은 가장 큰 선물은 오늘입니다. 오늘 받은 선물 가운데서도 가장 아름다운 선물은 당신입니다.” 나태주 시인의 “선물”이라는 시의 일부이다. 우리는 매일 엄청난 선물을 받으며 살고 있다. 오늘이라는 시간과 사람 사이의 관계라는 공간을 누리며 사는 것은 우리가 이생에서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축복이다. 때로는
지금 한국에는 이팝나무꽃이 하얗게 피고 있다며 풍경 사진을 지인이 보내왔다. 이팝나무는 서양사람들은 눈꽃나무(Snow flower)라고 하지만 우리는 쌀밥나무라고 부른다. 한국인들에게 밥은 삶이고 생명이다. 우리는 각자 자기 밥그릇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믿는다. 밥을 보약이라고 생각하며 챙겨 먹고, 밥심으로 살아가며 열심히 밥벌이하다가, 나중에는 직장에서 밥줄이 떨어지게 되면 노년에는 찬밥신세로 지내다가
지난 2025년 4월 29일부터 ‘모두를 위한 전자 건강기록(ePA für alle)’ 제도가 독일 전역에서 본격 시행되며, 건강관리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이 일상 속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병원, 의원, 약국에서는 환자의 진료 이력, 복용 중인 약물, 검사 결과 등을 하나의 전자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인생을 한 편의 연극이라고도 한다. 인생 1막은 출생 이후 주로 부모님과 선생님과 같은 타인의 도움과 교육을 받으면서 인생을 살아갈 준비를 하는 시기라면, 인생 2막은 가정을 꾸리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경쟁을 하고 자기 발전을 위해 전력을 쏟아붓는 시기이다. 그리고 인생 3막은 은퇴 이후 또 한 번 삶의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도 방언으로 “무척 수고하셨습니다”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란 뜻이다. 요즘 넷플릭스 시청률 1위를 달리는 K-드라마 제목이기도 한데, 이 드라마는 가족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로, 시청자들에게 큰 감동과 눈물을 주고 있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감동적으로 만들어진 이 드라마는, 제주 4.3 사건 이후,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쟁과 사회
교포신문생활지원단에서는 사단법인 ‘해로’와 함께 동포 1세대에 절실히 필요로 하는 건강, 수발(Pflege)에 관한 다양한 정보와 더불어 전화 상담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노령기에 필요한 요양등급, 장애 등급 신청, 사전의료 의향서(Patientenverfügung), 예방적대리권(Vorsorgevollmacht)작성 등 보다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독일의 건강보험 제도는 질병 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거나 장애를
‘눈물 없는 인생에는 무지개가 없다’라는 인디언 격언이 있다. 인생의 겨울이 있어야 성숙한 연륜의 나이테가 생기듯이, 눈물과 무지개가 공존하는 인생에는 하고 싶은 이야기(스토리)가 많게 마련이다. 우리들의 삶은 희로애락을 담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아서 때로는 웃음과 감동을 주지만, 때로는 슬픔과 고통을 주면서 우리의 인생 이야기를 적어 간다. 그렇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