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토크 “Oh Sunny”
2025년 5월 31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한국인 작가 타솜 헬레네 윤이 참석한 가운데 해로 하우스에서 "오 써니" 낭독회가 열렸습니다.낭독회 시작에 앞서 이날 참가한 15명의 한인 1세와 2세들을 맞이하는 해로의 봉지은 대표의 인사말이 있었습니다.조은영 부회장의 사회로, 윤작가는 데뷔 소설에서 발췌한 구절들을 낭독하였습니다. 이 소설은 트라우마와 우울증
2025년 5월 31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한국인 작가 타솜 헬레네 윤이 참석한 가운데 해로 하우스에서 "오 써니" 낭독회가 열렸습니다.낭독회 시작에 앞서 이날 참가한 15명의 한인 1세와 2세들을 맞이하는 해로의 봉지은 대표의 인사말이 있었습니다.조은영 부회장의 사회로, 윤작가는 데뷔 소설에서 발췌한 구절들을 낭독하였습니다. 이 소설은 트라우마와 우울증
2025년 5월30일 진주의 고운빛소리 합창단(단장 백은정, 지휘 이석빈)과 해로 노래교실(지휘 김은용, 반주 서미현)의 콜라보 무대가 베를린침례교회에서 열렸습니다. 진주는 도시 이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보석의 이름인 '진주'라는 단어와 같아 이중적인 의미를 지닙니다. 진주에서 온 고운빛소리 합창단은 그야말로 진주처럼 빛났고 맑고 순수한 음악으로 콘서트에 참가한 관객들과 파독1세대 어르신들에게
2025년 5월28일(수) 해로의 자원봉사자 7명이 모인 가운데 특별한 베를린 산책이 있었습니다. 체크포인트 챨리 주변에 냉전시대 관련한 기념물들을 보며 독일의 근대사를 통해 자유와 평화의 소중함을 생각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인근에 한 갤러리에 들러 영국 조각가 토니크렉의 전시도 관람하고 루디두취케 거리와 악셀 슈프링어 거리를 이어 걸으며 유럽의 가치와 역사를 바꾼
2025년 5월21일(수) 해로 하우스에서 어르신 13명이 모인 가운데 비즈팔찌 만들기 강좌가 열렸습니다. 다양한 색과 알파벳이 새겨진 비즈를 이용하여 이름을 넣거나 전화번호를 넣거나 자기 스타일대로 내 손으로 직접 팔찌를 만드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강사로는 정선경 선생님이 수고해주셨습니다.
Angebote zur Unterstützung im Alltag(이하 AUA)는 요양등급을 가진 어르신과 환우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제도적 서비스입니다. 베를린시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은 해로는 AUA 활동의 일환으로 가사 지원, 장보기, 병원 동행 등 다양한 일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AUA 일상생활 지원 자원봉사자로 활동할 분들을 위한 교육을 아래와 같이 실시합니다. 교육에 참여하실
따뜻한 이야기, 특별한 만남 북토크 "Oh Sunny" <Oh Sunny> 저자 다솜 헬레나 윤과 함께하는 북토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일시: 2025년 5월 31일 (토) 오후 4시 장소: 해로하우스 ( Schillerstraße 85 ,10627 Berlin ) 참가 신청: 5월 25일까지 (info@heroberlin.de) * 이 북토크는 독일어로 진행됩니다
진주의 고운빛소리 합창단(단장 백은정, 지휘 이석빈)과 해로 노래교실(지휘 김은용, 반주 서미현)의 콜라보 무대가 열립니다. 파독 일세대들의 고난과 희생을 기억하고, 함께 나누며 치유와 감동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일시: 2025년 5월 30일(금) 오후 5시 장소: 베를린침례교회 주최: 사단법인 해로, 고운빛소리 합창단 후원: 베를린 침례교회
HeRo-Haus의 일세대 자원봉사자 HeRo Engel 이 되어보세요! 마음과 시간, 그리고 소중한 삶의 경험을 나누며 함께 만들어가는 자리입니다. 참여 조건 만 70세 이상 시니어 마음과 일상 속 나눔의 기쁨을 느끼고 싶은 분 활동 내용 오시는 분을 따뜻하게 맞이하고 함께 동행하기 간단한 정리, 말벗 되어주기 등 커피, 차 음료 및 식사 준비 함께 이야기 나누며,
4월29일 해로의 판게아 하우스에서 모스크바 국립 음악원 출신의 우상임 박사의 특별 연주가 있었습니다. 이날 노래 교실 어르신들과 외부에서 오신 1세대 파독 어르신들 30여명이 자리를 가득 메운 가운데 우상임 연주자의 음악과 이야기로 참석자들은 웃고 울며 함께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녀는 제주에서 '자작나무숲' 이란 음악 단체를 이끌며
인생을 한 편의 연극이라고도 한다. 인생 1막은 출생 이후 주로 부모님과 선생님과 같은 타인의 도움과 교육을 받으면서 인생을 살아갈 준비를 하는 시기라면, 인생 2막은 가정을 꾸리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경쟁을 하고 자기 발전을 위해 전력을 쏟아붓는 시기이다. 그리고 인생 3막은 은퇴 이후 또 한 번 삶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