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약소반 만들기 수업
2023년 9월18일부터 20일까지 해로와 국립 무형 유산원이 함께 하는 K 무형유산 페스티벌 연계 교육협력사업 일환으로 전통 약소반 트레이 만들기 수업이 있었습니다. 3일간에 걸쳐 해로에서 돌봄 지원을 받는 요양등급이 있는 파독 일세대 어르신 36분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 무형 문화재 이수자분들의 지도로 진행되었습니다. 전통적인 재료와 공예수업으로 직접
2023년 9월18일부터 20일까지 해로와 국립 무형 유산원이 함께 하는 K 무형유산 페스티벌 연계 교육협력사업 일환으로 전통 약소반 트레이 만들기 수업이 있었습니다. 3일간에 걸쳐 해로에서 돌봄 지원을 받는 요양등급이 있는 파독 일세대 어르신 36분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 무형 문화재 이수자분들의 지도로 진행되었습니다. 전통적인 재료와 공예수업으로 직접
국립 무형 유산원과 해로가 함께하는 무형 유산 페스티벌 연계 교육 협력 사업 시간과 자세한 정보는 참석자들에게 개별공지 됩니다
현금급여로 등급혜택을 받는 요양 등급 2이상의 재택 돌봄 환자는 정기적으로 요양 상담을 이용할 의무가 있다. 이에 관련된 내용은 제 4회 <장기요양등급 통보와 등급에 따른 혜택> 기고글에서 짧게 소개한바 있다. 최근 지급받던 현금급여가 반으로 삭감되어 나온다며 <교포신문과 해로가 함께하는 요양 상담처>로 문의하시는 분들이 있다. 상담 방문은 재택
“버킷리스트”의 뜻은 평생 꼭 해보고 싶은 일이나, 죽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일들을 적은 목록을 말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버킷리스트”라는 외국어 대신 “소망 목록”이라는 순화된 단어를 대신 사용하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 말이 처음 시작된 어원을 찾아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소망’과는 거리가 멀고, 아주 절망적인 단어였다. 원래 버킷리스트(Bucket list)라는
지난 7월 22일 경기도 용인에 있는 “샘물호스피스병원”에서는 특별한 예배가 열렸다. 죽음을 앞둔 말기암의 선교사가 가족, 친지들과 그동안의 삶을 돌아보고 서로 감사하는 “고별감사예배”를 드렸다. 이 예배는 일반 장례예배와 비슷한 순서로 진행되었지만, 당사자가 아직 살아 있다는 점이 이날 예배의 특징이었다. 고별감사예배의 주인공 이석봉 선교사는 동료 선교사들과
2023년 8월23일(수) 9명의 일상생활지원(AUA) 자원봉사자들을 교육수료식이 있었습니다. 이번 교육은 6월14일부터 8월16일까지 총 40시간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교육과정에서도 기존 교육에 더해 좀더 실질적이고 실무에 도움이 되는 커리큘럼이 추가되었습니다. 실제 활동 중인 선배 봉사자들의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듣기도 했고, 대화와 소통의 기술, 다양한 수업 속에서 봉사자 자신을 파악하고
2023년 8월 22일(화) 10여명의 참가자들이 모인 가운데 네번째 베를린 산책 시니어 프로젝트 70+이 진행되었습니다. 연이은 폭염으로 힘들었지만 산책 당일에는 기온이 선선하여 산책하기에 좋았습니다. 이날은 젠마멘마크부터 독일 역사박물관까지 독일의 전신인 프로이센제국의 역사를 돌아보았습니다. 종교와 언론의 자유를 허했던 프리드리히 대왕의 업적을 짚어보고 지금도 유럽에서 난민을 제일
말복이 지났는데도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입니다. 더운 날씨에 안녕하신지요. 해로의 여름호 소식지가 나왔습니다. 여느 때 보다 상반기에 행사가 많았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소식지 전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issuu.com/heroberlin/docs/2023_
2023년 8월 15일(화) 해로의 20여명의 어르신들이 참가하여 요가 강사님을 모시고 두번째 건강 요가 교실을 열었습니다. 이번에는 해로가 아닌 좀더 요가하기에 적합한 장소에서 진행되어 지난 번 보다 크고 다양한 동작들을 배웠습니다. 안쓰던 근육을 움직이며 선생님의 동작을 따라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어르신들은 저마다 열심히 운동에 임하셨습니다. 이번 행사는 AXA